Table 3 Milestone in the history of milk heat-treatments

기간 내용
1860~1864 프랑스의 Louis Pasteur가 포도주를 가열처리함으로써 부패균을 죽일 수 있음을 발견
1870 Denmark의 N.J. Fjord 교수가 Pasteur의 열처리법을 우유에 응용함
1873 미국의 Abraham Jocobi가 유아용 우유를 가열처리하는 방법을 발견
1881 독일의 Alb Fesca사가 처음으로 우유살균기를 제작
1884 독일의 Soxhlet 박사가 유아용 우유를 가열처리하도록 권장했으며, 가정에서 우유의 열처리장치를 고안
1885 Denmark와 Sweden에서 우유가 상업적으로 살균됨
1886 Harvey D. Thatcher 박사가 처음으로 유리로 된 우유병을 발명하였고, Stone 박사가 처음으로 우유충전기의 특허를 받음
1888 : A. Caille 박사가 Soxhlet 살균기를 미국에 소개
1889 우유병 입구에 턱이 있어 종이 뚜껑으로 막을 수 있는 우유병이 특허를 받았다.New York의 Postdam에 사는 Harvey와 Samuel Barnhart는 종이 우유병마개의 특허를 받았다.New York시의 Henry Koplik이 세계에서 처음으로 유아용 우유집유소를 설치
1889~1893 New York시의 Nathan Straus와 J. H. Monrad가 우유의 살균을 주장하고 실시
1890 Denmark에서 처음으로 버터제조용 크림을 살균하였으며, 1890년경에는 보편화 되었다.우유를 85℃까지 순간적으로 가온할 수 있는 연속가열장치가 처음 Denmark에서 개발됨
1890~1891 Bittner가 처음으로 나선형 가열코일을 장치한 단식 살균기를 만들었으며, 우유를 84.4℃에서 30분간 가열하면 충분히 살균할 수 있다고 함
1892 미국의 Sheffield Farms Co.의 사장 L. B. Halsey가 New York의 Bloomville 공장에 독일의 살균기를 처음 설치하여 처음으로 상업적 살균유 공장을 경영함
1892 Chicago의 Columbia 박람회에 우유병장 살균법을 처음 전시
1893 Howland G. Freeman 박사가 개량된 가정용 우유살균기를 발명하였다.New York시에 Nathan Straus가 살균유 처리장을 만들어 극빈아동에게 무료로 살균유를 공급
1894 미국의 J. H. Monard씨가 우유살균기를 제작하여 D. H. Burrell & Co가 판매
1895 S. M. Heuling 씨가 탱크형의 연속우유살균기를 고안, Wisconsin 주립대학의 H. L. Russell 박사가 진탕기와 덮개가 달린 탱크형 저온살균기를 고안했으며, 초기의 병장살균법이 점차 탱크형 살균기를 사용하는 살균법으로 대체되었다. 증기터빈 병 세척기가 처음 소개됨
1896: S .M. Babcock 박사와 H. L. Russell 박사는 우유의 살균이 크림층 형성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
1897 Jensen 씨가 연속회전식 관형살균기를 설계 제작우유의 상업적 살균이 미국 Ohio 주 Cincinnati에서 시작
1897 미국 Minnesota 주 Albert Lea의 H. E. Schuknecht가 버터제조용 크림의 살균을 실시
1898 버터제조용 크림의 살균을 Denmark에서는 의무화함
1899 Farrington과 Russell 박사는 고온살균으로 크림층이 감소한다고 보고
1990 Russell과 Hastings 박사는 Mycobacterium tuberculosis와 다른 병원균을 60℃에서 20분간 처리하면 사멸시킬 수 있음을 확인
1900~1907 Theobald Smith, Russell과 Hastings 및 Rosenau 박사 등은 결핵균이 60℃에서 20분간 열처리하면 사멸되는 것을 연구 확인함으로써 저온 살균법의 과학적 기초를 수립
1903 열재생식의 살균기가 소개되었으며, Joseph Willmann이 수직형 열재생식 살균기를 제조
1903 국제낙농연맹(International Dairy Federation)이 처음으로 Belgium의 Brussels에서 탄생되었으며, 첫 대회에서 몇몇 연구자가 우유의 살균에 대하여 보고하였다.이 대회에서 Sweden의 C. Barthel은 1896년에 Sweden의 유업체가 우유살균을 실시하고 있다고 보고
1906 종이로 만든 우유병이 발명되었지만, 약 1929년경까지는 사용되지 않음
1906~1907 Joseph Willmann은 8칸으로 된 저온살균기를 건조하였으며, 각 칸에서 우유를 61.7~62.2℃에서 30분간 가열한 후 내보내게 됨
1907 국제의약협회가 우유의 살균을 권장함. 독일의 Heidelberg에 Straus가 우유살균 실험실을 설치미국 공중위생국이 우유와 공중위생과의 관계를 연구하기 시작Joseph Willmann이 처음으로 New York시 Slawson Decker Co.에 연속 저온살균기를 설치하고, 처음으로 우유 자동기가 특허를 받음
1908 우유판매자 국제협회(The International Milk Dealers; 이 기관은 1935년에 The Milk Industry Foundation으로 되었다)가 Chicago에 설립됨Chicago는 우유 살균을 법제화 최초의 도시가 됨Charles E. North 박사가 New York시에서 처음으로 A급 우유(Grade A Milk)의 개념과 표준을 정함
1909 미국공중위생국과 해군병원이 처음으로 Milton J. Rosenau가 저술한 위생시험서 59호, “살균”과 “우유병원균의 열사멸점”을 출판Chicago 시는 tuberculin 검사를 받지 않은 소에서 생산되는 모든 우유를 의무적으로 살균하도록 법으로 제정D.H. Burrell & Co.는 2중 관형열교환기를 제작하고, 처음으로 관형 저온살균기를 개발New York시의 Charles E. North 박사는 저온살균 시간과 유량을 검사시 Serratia marcescens를 사용
1910 미국 공중위생 협회가 처음으로 “유제품의 표준검사법”(Standard Methods for the Examination of Dairy Products)을 출판
1911 Charles E. North 박사가 상업적 병장살균 방법을 연구회전식 자동 우유 병장기 개발처음으로 유가공 기계에 염소 소독제 사용
1912 Chicago 법률과 유사한 New York시에 의무 살균법이 발효Charles E. North 박사가 가열시간과 온도가 우유의 여러 가지 성질 bacteria, 성분에 미치는 도표를 발표
1913 Chicago 전국 낙농박람회에 Standard Cap and Seal Co.가 종합우유 살균포장기를 전시
1914 New York시 위생국은 모든 살균유는 61.1~62.8℃에서 최소 30분간 가열하도록 정함Philadelphia시 우유살균을 의무화 함
1918 유리를 피복시킨 단식 살균기가 소개
1919 Anderson과 Finkelstein은 Electro-Pure 공정을 사용하여 우유의 HTST 살균표준을 정함
1920 Grindrod가 고압건조 증기를 크림에 주입한 후, 진공실로 유출시키는 “충격 멸균법(Impact sterilization)” 원리를 소개
1922 영국에서 처음으로 우유살균법 제정
1923 영국의 Sedwick가 처음으로 열재생식의 HTST 판형 살균기를 소개 Hunziker가 어떤 속은 우유와 접촉하면 산화취를 발생시킨다고 주장
1924 단열장치가 된 우유수송 탱크차가 소개되었다.미국 공중위생국이 처음으로 표준우유 법령(The Standard Milk Ordinance and Code)을 제정
1925 D. H Burrell & Co.가 처음으로 두 칸으로 된 우유침량기 제조에 Stainless 강철을 사용
1927 Pennsylvania 주 위생국이 HTST 살균에 전기 가열을 허용처음으로 상업적 균질방법이 시행The Heil Co.가 처음으로 Stainless steel로 된 우유수송 탱크를 제작
1927 미국의 Grindrod는 증기 주입법으로 우유를 110℃까지 (2기압) 가열 처리하는 멸균법을 무당연유 제조에 사용
1927~1933 현재의 HTST 우유 살균 장치들이 개발
1929 처음으로 종이로 된 우유포장 용기 (The Sealcone)가 소개됨판형 열교환기가 영국으로부터 미국에 소개됨Mojonnier Vrothers가 새로운 회전식 진공우유 병 충전기를 소개
1930 New York시 위생국이 더운물로 가열되는 HTST 살균기를 허가하였다. 산화취가 살균 우유의 중요한 문제점으로 부각
1930~1940 HTST 살균기에 사용될 수 있는 역류 밸브가 개발 완성
1931~1932 A. C Dahlberg와 J. C. Marquardt(New York시 농업시험장) 씨가 우유의 가열온도 및 시간과 결핵균 사멸간에 관계를 반로그 도표에 표시
1932 New Zealand에 R. M. Murray와 F. S. Board 씨가 우유의 진공처리를 발명
1933 Tracy, Ramsey, Ruehe가 우유를 균질하면 살균유의 산화취가 억제된다고 보고처음으로 우유의 HTST 살균표준이 미국 공중위생법령(U.S Public Health Service Milk Ordinance and Code)에 포함됨
1935 프랑스 의회는 사람이 소비하는 모든 우유는 살균하도록 정했으나, 소비자에게 직접 배달되거나, 하루에 600 liters 이하를 집유하는 집유 처리장에는 적용되지 않음
1935 미국 의학 우유협회 (The American Association of Medical Milk Commissions)가 처음으로 보증우유의 살균을 하도록 권장영국의 Kay와 Graham이 처음으로 phosphatase 시험법을 소개
1937 처음으로 독일에서 밀폐된 우유관을 우유공장에서 사용
1938 HTST 살균의 온도조절 문제가 판형 열교환기와 역류밸브를 사용하여 해결. UHT 살균, 진공살균, 우유의 탈취를 가능하게 한 진공처리기가 New Zealand에서 미국에 처음 소개
1938~1945 저온 살균법이 급속히 고온단시간 살균법으로 대치됨
1940 Netherlands에서 우유의 살균이 법적으로 의무화
1941 고온단시간 살균법이 영국에서 공식으로 인정
1942 우유의 매일 배달제가 의무화
1948 UHT 살균법 소개
1951 Meyer가 우유를 UHT 처리하고, Martin 통조림법으로 철관에 무균포장함
1951 Denmark의 Svend O’Koch 박사는 국제 우유위생위원회에 제출한 보고서에서 1949~1950년대에 유럽의 몇몇 나라에서 우유의 위생적 품질의 평가에는 methylene blue 환원시험, 총미생물의 표준평판배양법, Coliform 미생물 시험법 등이 가장 많이 사용됨
1952 150℃에서 0.1초간 우유를 처리하는 UHT 처리방법이 Swiss에서 소개
1956 Switzerland의 P. Kastli 박사는 IDF에 제출한 보고서에서 우유를 Phosphatase가 음성이 될 정도로 열처리하면 병원성의 미생물이나 바이러스는 모두 사멸한다고 보고
1959 영국의 S. K. Kon 박사는 살균처리에 의한 우유의 영양소 파괴는 무시할 정도라는 연구를 발표
1961 IDF의 우유의 저장에 관한 세미나에서 다음의 결론을 내림- 열처리 목적은 우유의 모든 병원균을 죽이고, 우유의 저장성을 개선하기 위한 것이다. 열처리 검사-열처리 후 Phosphatase 음성일 경우 열처리가 적당한 것으로 인정한다. 법-열처리된 우유의 미생물수를 규정할 수 있으나, 내열성 미생물수는 중요하지 않다.- 온도-강한 산화취 방지를 위해서가 아니라면 고온을 사용할 필요가 없다.- 살균후 재오염-살균유의 저장성은 재오염되는 미생물에 의해 주로 좌우된다.- 살균기와 병장기간의 연결관은 짧을수록 좋다.- 미생물-미생물수보다 미생물 종류가 시유의 저장성을 좌우하므로 재오염을 최대한 방지해야 한다.
1961 Sweden의 Tetra Pak사와 Austria의 Alpura사가 협력하여 다층지형 Tetrahedron 용기에 UHT 처리한 우유를 무균 포장하는 방법을 상업화
1964 Blowmold 플라스틱 우유병 소개
1964 영국의 W. A. Cuthbert 박사는 IDF Bulletin, Doc. 9에서 “HTST 살균에서 생존하는 미생물을 살균용 원유의 검사에 사용하기에는 아직 이들에 대한 지식이 부족하다. 다만 HTST 살균은 시판용 우유를 제조하기 위한 최소의 열처리일 뿐이다.” 라고 주장
1965 Netherlands에서 무균포장된 멸균유가 처음 시판
1966 멸균연유 상업적으로 제조 시판